급성중이염은 귀에 발생하는 염증으로, 주로 코나 목에서 시작된 염증이 이관을 통해 귀로 전이되는 경우에 발생합니다. 특히 아이들은 이러한 급성중이염에 취약한데, 그 주된 원인은 아이들의 이관 구조 때문입니다. 어린이의 이관은 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평적이며, 그 길이가 짧아 바이러스나 박테리아가 귀로 쉽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독성이 강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직접적으로 중이염을 유발하는 경우도 확인되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급성중이염의 발병 원인을 다양하게 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이강우 소아과 전문의에 따르면, 편도염이나 간단한 감기 등의 질환을 앓은 아이들 중 약 5%가 급성중이염의 증상으로 다시 병원을 찾게 됩니다. 더욱 놀라운 것은 출생 후 12개월 이내의 아이 중 대략 3분의 2, 그리고 3세 이하의 아이 중 약 90%가 한 번은 급성중이염을 경험했다는 통계가 나오고 있습니다.
급성중이염에 걸린 아이는 주로 귀에 통증을 느끼며, 귀를 잡아당기거나 자주 만지려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감기 직후 이러한 증상이 나타난다면, 이는 급성중이염의 확실한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이런 증상을 보이는 아이는 가능한 빨리 전문가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대부분의 경우에는 약물 치료와 귀의 분비물을 제거하는 치료를 통해 증상이 호전됩니다. 그러나 치료를 받지 않으면, 귀의 유스타키오관에 고름이 쌓이게 되고, 이는 삼출성중이염으로 진행될 위험이 있습니다. 길게 치료를 미루면 귀의 뼈를 부식시키는 위험이 있고, 심각한 경우에는 뇌막염이나 뇌농양과 같은 중대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카테고리 없음
아이들에게 자주 나타나는 급성중이염의 원인과 치료에 관한 고찰
반응형